GAME MAKER 강좌
KAYAN
◈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ini 저장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ini 파일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ini 파일에 접근하려면 ini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Files ▶ [Open Ini File] 액션을 사용하면 ini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 Open Ini File 액션)
그리고 ini 파일을 열었다면 반드시 ini 파일 다시 닫아야 합니다.
ini 파일을 닫을 때는 Files ▶ [Close Ini File] 액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 Close Ini File 액션)
ini 파일에 접근하려면 이 두 액션은 필수입니다.
이제 이 두 액션 사이에서 파일을 읽고 쓰기 기능을 추가하면 됩니다.
먼저 ini 파일에 정보를 쓸 때는 Files ▶ [Write To Ini File] 액션을 사용합니다.
(▲ Write To Ini File 액션)
Type 에는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두가지로 기록할 수 있습니다.
ini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섹션] 키 = 값 |
섹션(section), 키(key)는 문자열로 지정하고, 값(Value)에는 기록하고자 하는 유형(문자열, 또는 숫자)에
따라 값을 지정하면 됩니다.
(▲ Write To Ini File 액션)
◈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ini 불러오기
먼저 ini 파일에 정보를 읽을 때는 Files ▶ [Read Ini File] 액션을 사용합니다.
(▲ Read Ini File 액션)
Type 에는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두가지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ini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섹션] 키 = 값 |
불러오고자 하는 값의 섹션(section), 키(key)를 지정합니다.
그리고 Type에는 그 값이 문자열(String)인지 또는 숫자(Number)인지를 지정합니다.
Default 는 섹션, 또는 키가 없어 값을 불러오지 못했을 때 반환하는 기본값을 지정합니다.
마지막으로 Target 에 불러온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저장된 값의 숫자를 불러온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을 거에요.
(▲ Read Ini File 액션)
※ Temp 는 임시 변수로 사용할 때 체크합니다. 임시 변수는 액션을 사용한 현재 이벤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GameMaker강좌[GMS2] > DnD(드래그앤드롭)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데이터 구조체 - 스택 (0) | 2021.10.08 |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데이터 구조체 - 리스트 (0) | 2021.10.08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DnD : 일정한 거리에서 회전 (0) | 2021.04.02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DnD : 전체화면으로 전환 (0) | 2021.03.31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DnD : 게임 저장 (0) | 2021.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