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제작강좌352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드래그 앤 드롭 반복문 ◈ 반복문 드래그 앤 드롭 반복문에 대해 알아봅시다. (▲ 반복문 액션) [Loop] 반복문은 무한으로 반복시킬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Loop 반복문 액션) 주의 할 것은 반복문을 사용할 때, [Break] 액션을 사용하여 반복문을 빠져 나오도록 이벤트를 구성해야합니다. 반복문이 무한으로 동작하면 게임이 멈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모든 반복문에는 Break 액션을 사용하여 반복문을 중지 시킬 수 있습니다. (▲ Loop 반복문 액션 사용 예) [Repeat] 액션은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 Repeat 반복문 액션) 지정한 횟수만큼만 실행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복문이기도 합니다. (▲ Repeat 반복문 액션 사용 예) [While Loo.. 2021. 10. 15. (♡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드래그 앤 드롭 타일맵 ◈ 타일맵 드래그 앤 드롭으로 룸에 타일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 타일맵) 타일을 배치하려면 먼저 타일이 필요합니다. 타일을 모아놓은 이미지를 스프라이트로 추가하고, 타일 셋으로 추가합니다. (▲ 타일 셋) 룸에 타일을 배치하려면, 타일 레이어가 필요합니다. 룸에 타일 레이어를 추가하고, 타일 셋을 지정해요. (▲ 타일 레이어) 위와 같이 했다면 타일을 배치할 준비가 끝난 거에요. 드래그 앤 드롭에서 타일은 아래의 액션을 사용하여 배치할 수 있어요. (▲ 타일 액션) 타일레이어의 타일맵을 변경하려면 [Set Tile Set] 액션을 사용합니다. (▲ Set Tile Set 액션) 이 액션은 타일 레이어에 지정한 타일 셋을 다른 타일 셋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Layer 는 타일레.. 2021. 10. 10. (♡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스위치 조건분기(Switch) ◈ 스위치 조건분기 스위치 구문은 조건분기로 실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스위치 구문 액션) 먼저 [Switch] 액션으로 스위치 구문을 구성합니다. Value 에 조건분기를 트리거할 변수를 지정하면 이 값에 따라 조건분기가 실행됩니다. (▲ 스위치 구문 구조) 조건분기는 [Case] 액션으로 시작합니다. [Case] 액션의 Constant 에는 조건분기에 해당하는 값을 지정하면 됩니다. 그러면 [Switch] 액션에서 지정한 변수값 일치하는 값일 때, 이 [Case] 액션의 이벤트가 실행되는 것이지요. 분기 이벤트가 실행된 후에는 [Case] 액션 끝에 [Break] 액션을 추가해서 스위치문을 빠져나오게 합니다. 여기에서 Break 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다음 분기도 실행될 수 있기 때.. 2021. 10. 9. (♡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가까운 거리순으로 인스턴스 목록화 ◈ 가까운 거리순으로 인스턴스 목록화하기 지정한 오브젝트의 인스턴스를 체크하여 가까운 거리순으로 목록화하는 것에 대해 알아봅시다. (▲ 가까운 거리순으로 목록화) 필요한 기능은 가까운 거리순으로 인스턴스 ID를 목록화에 리스트 데이터 구조체를 사용할 거에요. Create 이벤트에 [Create List] 액션을 사용하여 리스트 데이터 구조체를 생성합니다. (▲ 리스트 데이터 구조체 생성) 거리순으로 ID를 정렬할 기능으로 우선도 큐 데이터 구조체(ds_priority)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요. 우선도 큐는 우선도에 따라 값을 정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체입니다. 여기서 우선도는 거리가 되겠죠. (▲ 우선도 큐 데이터 구조체 생성) 우선도 큐는 액션에 없기 때문에 Common ▶ [Function Call.. 2021. 10. 9. (♡ )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가장 먼 거리의 인스턴스 찾기 ◈ 가장 먼 거리의 인스턴스 찾기 가장 먼 거리의 인스턴스를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 가장 먼 거리의 인스턴스) 기본적으로 가장 먼 거리의 인스턴스는 아래의 함수로 찾을 수 있습니다. ◎ instance_furthest(x,y,obj) 이 함수를 [Function Call] 액션으로 호출하고, 인스턴스의 ID를 변수에 반환시켜 사용하면 됩니다. (▲ Function Call 액션) 함수를 호출하면 현재 인스턴스에서 가장 멀리 있는 인스턴스의 한개의 ID를 반환합니다. 만약 룸에 지정한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에는 noone (-4)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2021. 10. 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