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제작강좌352

[게임메이커강좌-기초] 마우스로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이동하기 GAME MAKER 강좌 KAYAN ◈ 마우스로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이동하기 이번 강좌에서는 마우스로 룸에 있는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일반적으로 마우스 좌표는, mouse_x : 마우스 x 좌표 mouse_y : 마우스 y 좌표 위의 변수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멀티 포인트 터치 환경 이라면, device_mouse_x(device) : 0 ~ 4 포인트 체크(스튜디오 이상 지원 함수) device_mouse_y(device) 이 함수를 통해 세부적(최대 5 포인트 동시 체크)으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만, 강좌에서는 간단하게 mouse_x, mouse_y를 사용해봅시다. 룸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오브젝트의 이동하기 전 좌표를 필요로 합니다. (▲.. 2016. 12. 2. (♡ )
텍스트 웨이브 효과 예제 텍스트 표시에 웨이브 효과를 줄 수 있는 스크립트 예제입니다. 아래는 스크립트 목록입니다. ⊙ 초기화 스크립트 text_effect_init( ) : 스크립트 초기화 ⊙ 설정 스크립트 text_effect_value(value) : 웨이브 애니메이션 속도 값 설정. 적절한 값은 1~10. text_effect_typing_speed(speed) : 타이핑 속도. 값은 0 이상. text_effect_typing_reset(default) : 타이핑 리셋. 기본값은 0. ⊙ 표시 스크립트 draw_text_effect(x,y,str,type,ef_value) : 기본 표시 스크립트 draw_text_effect_typing(x,y,str,type,ef_value) : 타이핑 스크립트 draw_text_ef.. 2016. 12. 1. (♡ )
[게임메이커강좌-GMS 기초]스튜디오에서 게임메이커 8.x 이전 프로젝트 파일 불러오기 GAME MAKER 강좌 KAYAN ◈ 스튜디오에서 게임메이커 8.x 이전 프로젝트파일 불러오기 이번 강좌에서는 스튜디오에서 게임메이커 8.x 이전 프로젝트 파일(*.gm6, *.gmk, *.gm81 등)을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게임메이커 스튜디오(이하 게임메이커)를 실행하고 맨 처음에 뜨는 팝업에서 Import 탭을 선택합니다. 게임메이커에서 편집 중이라면 메인메뉴에서 File ▶ New Project 를 선택하여 뜨는 팝업에서 Import 탭을 선택합니다. (▲ Import 탭) 그리고 중간에 있는 Filter 에서 불러오고자 하는 구버전의 게임메이커 파일 확장자를 선택합니다. (▲ Filter 에서 파일 확장자를 선택 ) 참고로 게임메이커 스튜디오 프로젝트 압축파일은 *.gmz 입.. 2016. 9. 29. (♡ )
[게임메이커강좌-파티클]파티클 제거하기 GAME MAKER 강좌 KAYAN 파티클은 생성했을 때 수명에 따라 자동으로 제거되지만, 파티클 시스템 및 파티클들은 생성되었을 때 룸을 이동해도 게임 상에 계속 남게 됩니다. 파티클 시스템이 그대로 남아 있다보니 룸을 이동해도 파티클이 계속 생성되는 것이지요. 문제는 파티클 시스템이 중복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을 제거하지 않고 룸을 이동하면 게임 상에 계속 남게 되고, id도 변경되어 제거하기가 힘들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룸을 이동하기 이전에 반드시 모든 파티클을 제거하고 룸을 이동해야 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파티클을 파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 룸 이동시 파티클 시스템 제거 파티클은 파티클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지요. 룸을 이동하기 전에 아래의 파티클 시스템 파기 함수를 사.. 2014. 9. 10. (♡ )
[게임메이커강좌-기초]인스턴스 생성하기 GAME MAKER 강좌 KAYAN 이번 강좌에선 인스턴스(오브젝트)를 생성해보도록 합시다. ◈ 인스턴스 생성하기 오브젝트는 게임메이커에서 설정한 리소스를 말합니다. (▲ 오브젝트) 여기에서 게임에 관련된 사운드 및 음악 재생을 할 수 있고, 캐릭터의 모습을 표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구성할 수 있지요. 그리고 이 오브젝트를 룸에 배치시키거나 게임상에서 생성시켰을 때의 객체가 바로 인스턴스입니다. 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은 이 액션들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생성 액션) 먼저 Create Instance 액션은 인스턴스를 바로 생성하는 기본적인 액션입니다. (▲ Create Instance) 생성할 오브젝트를 지정하고, 좌표를 지정하면 그 위치에 생성됩니다. Relati.. 2014. 8. 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