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ameMaker강좌[GMS2]/DnD(드래그앤드롭)기초

[게임메이커 강좌-DnD][GMS2] 데이터 구조체 - 그리드

by 타락카얀 2021. 10. 8.
728x90

 

 

 

 

 

◈ 데이터 구조체 - 그리드

 

 

그리드 데이터 구조체(이하 그리드)는 아래의 액션을 사용합니다.

 

(▲ 데이터 구조체 액션 - 그리드)

 

그리드는 격자 형식의 데이터 구조체이며, 격자의 위치에 값을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그리드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크기를 정하고 해당 위치에 기본값을 저장하게 됩니다.

 

(▲ 데이터 구조체 액션 - 그리드)

 

그리드의 첫번째 위치는 (0, 0)부터 시작합니다.

 

그리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Create Grid] 액션을 사용하여 그리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ID를 변수에 저장한 다음, ID가 저장된 변수를 이용하여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읽을 수 있도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2 X 32 크기로 그리드를 만들면 가로 32, 세로 32개, 총 1024 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서 그리드의 크기는 룸의 좌표와는 달리 데이터 수량을 의미합니다.

 

(▲ 데이터 구조체 액션 - 그리드)

 

그리드가 더이상 필요 없다면 [Free Data Structure] 액션을 사용하여 메모리에서 완전히 파기합니다.

 

[Clear Data Structure] 액션은 그리드의 값들을 모두 클리어 할 때 사용합니다.

이 액션을 사용하면 그리드의 데이터는 모두 지정값으로 초기화 되는 것이죠.

 

(▲ 데이터 구조체 액션 - 그리드)

 

[Set Grid Value] 액션을 사용하면 지정 위치에 지정한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Get Grid Value] 액션을 사용하면 지정 위치에 저장된 값을 지정한 변수에 반환합니다.

 

(▲ 데이터 구조체 액션 - 그리드)

 

[If Data Structure Exists] 액션은 지정한 데이터 구조체가 존재하는지를 반환합니다.

보통 데이터 구조체를 만들지 않았거나, 또는 파기해서 없는 경우를 대비해서 사용합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