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제작강좌352

[게임메이커강좌-기초]타임라인과 알람 GAME MAKER 강좌 KAYAN 게임메이커에서는 타이머에 관련된 이벤트가 2가지 있습니다. 우선 특정 시나리오대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케줄 타입의 타임라인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시간에 발생하도록 이벤트를 작성할 수 있는 타이머 형태의 알람이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 두가지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 타임라인 타임라인은 아래의 폴더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타임라인 폴더에서 타임라인을 생성) 이 타임라인은 특정 시나리오대로 예약 시간대에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케줄 타입의 기능입니다. 예를 들면 10초에 몬스터를 룸 상에 생성시킨다던가, 또는 특정 유닛의 변수를 조작시키던가 여러가지 이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Draw 이벤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벤트를 작성.. 2013. 12. 26. (♡ )
한개의 캐릭터 셋 이미지로 8 방향 애니메이션 표시 예제 GAME MAKER 강좌 KAYAN (▲ 예제) 제목은 8방향이지만, 4방향도 되고, 16방향 이상도 가능합니다. 하나의 캐릭터 셋에서 여러 방향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예제입니다. 애니메이션 재생 순서는 캐릭터 셋 이미지에서 가로로 0 ▶ 1 ▶ 2 ▶ 3 ▶ ... 애니메이션 순으로 재생됩니다.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구성할때 방향은 세로 순으로, 애니메이션 모션은 가로 순으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방향은 게임메이커의 방향(direction) 설정대로 반시계 방향입니다. (▲표시할 이미지 예) 애니메이션은 아래의 스크립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draw_ani_part_ext(cellwidth,cellheight,x,y,spr,subimg,dir,frame,dir_part,alpha) - cellw.. 2013. 12. 23. (♡ )
한개의 캐릭터 이미지로 4방향 애니메이션 표시 예제 GAME MAKER 강좌 KAYAN (▲ 예제) Rpg만들기의 캐릭터처럼 하나의 캐릭터 셋 이미지에서 방향별 애니메이션을 표시(4방향)하는 예제입니다.애니메이션 재생 순서는 캐릭터 셋 이미지에서 가로로 0 ▶ 1 ▶ 2 ▶ 3 ▶ ... 애니메이션 순으로 재생됩니다. ◈기본 표시 스크립트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구성할때 방향은 세로 순으로, 애니메이션 모션은 가로 순으로 구성하시면 됩니다.방향은 게임메이커의 방향(direction) 설정대로 반시계 방향입니다. (▲표시할 이미지 예1) 애니메이션은 아래의 스크립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draw_ani_part(cellwidth,cellheight,x,y,spr,subimg,dir,frame,alpha) - cellwidth : 캐릭터 이미지의 넓이 - ce.. 2013. 12. 14. (♡ )
[게임메이커강좌-기초]스프라이트 애니메이션 GAME MAKER 강좌 KAYAN 아래와 같이 애니메이션이 있는 스프라이트를 게임 상에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애니메이션 이미지) ◈ 스프라이트 애니메이션 재생 스프라이트 애니메이션 재생은 간단합니다. 애니메이션이 있는 스프라이트를 오브젝트에 지정하고, 룸에 배치하면 됩니다. (▲ 애니메이션 스프라이트를 오브젝트에 지정) 간단하죠. 하지만 스프라이트의 애니메이션은 룸의 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게임 상에서 스프라이트의 재생이빠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룸의 속도가 60이고, 프레임 수(서브 이미지 수)가 10이라면 실제 게임에선 체감 상 빠르게 재생될 것입니다. 이런 경우 아래의 내장 변수로 재생 속도를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image_speed=재생 속도 image_speed를 사용.. 2013. 12. 10. (♡ )
[게임메이커강좌-기초]Visible기능 GAME MAKER 강좌 KAYAN 이번에는 Visible 기능에 대해 알아봅시다. (▲ Visible) ◈ Visible 이 Visible은 오브젝트를 룸에 배치하고 게임을 실행 했을 때, 그래픽적인 부분을 보이게 할지, 아니면 보이지 않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 Visible) 이 곳을 체크를 하게 되면, 오브젝트의 Draw 이벤트나 그래픽(sprite)들을 게임 상에서 표시하게 됩니다. 그리고 만약 체크 해제하게 되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다만, 오브젝트의 그래픽적인 부분만 보이지 않게 될뿐, 다른 이벤트들은 그대로 작동합니다. 그래서 오브젝트를 룸에 배치했는데 게임을 실행했을 때 오브젝트가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오브젝트의 Visible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Vi.. 2013. 12. 9. (♡ )